2013년 7월 4일 목요일

[EtC] Spring3.x - properties 파일을 xml 로 바꾸자.



원문 : http://umsh86.tistory.com/category/spring


1. 설정 값이 들어 있는 xml  파일. 이 문서에서는 mobileWeb-properties.xml 파일.
<?xml version="1.0" encoding="UTF-8"?>
<!DOCTYPE properties SYSTEM "http://java.sun.com/dtd/properties.dtd" >

<properties>
  <comment>comment here</comment>
  <entry key="TestMessage">이 값은 mobileWeb-properties.xml 에 들어 있는 값 입니다.</entry>
</properties>


2. beans가 등록된 xml 파일. 이 문서에서는 mobileWeb-servlet.xml 파일.
<?xml version="1.0" encoding="UTF-8"?>

<beans xmlns="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중략...
              xmlns:util="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util"
              xsi:schemaLocation="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중략...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util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util/spring-util.xsd"
             >

<!-- 설정값이 들어 있는 xml 파일  -->
<util:properties id="config" location="/WEB-INF/config/mobileWeb-properties.xml"></util:properties>


3. xml 문서에서 값을 가져다 쓰기.
   <property name="myValue" value="#{config['TestMessage']}">
       ... 중략 ...
   </property>


4. jsp 에서 값을 가져다 쓰기.
<!-- xml의 설정 값을 읽어 오기 위한 부분 -->
<%@ taglib uri="http://www.springframework.org/tags" prefix="spring"%>
    ... 중략 ...
<body>
    ... 중략 ...
 <spring:eval expression="@config['TestMessage']"></spring:eval><br>
</body>


5. SpEL을 이용해서 Java에서 사용하는 방법.
@Value("#{config['TestMessage']}") String TestMessage;

2013년 6월 30일 일요일

[EtC] LG-SU-870 관련 메모


1. 숨겨진 메뉴(Hidden Menu)
    다이얼 -> 3845#*870#
    참고 : 몇몇 메뉴는 위험해 보이니 주의 할 것.


2. MAP440 드라이버 설치(Windows 7 기준)
    2-1. LG-SU870의 휴대폰 전원을 끈다.
    2-2. 휴대폰 베터리를 분리 한다.
    2-3. 컴퓨터와 USB케이블로 연결 한다.
    2-4. 내 컴퓨터 -> 속성 -> 장치관리자 로 가서 OMAP440 의 드라이버를 설치 한다.


3. SW모드
    휴대폰 전원을 꺼둔 상태에서 볼륨↑키를 누른 상태로
    컴퓨터와 USB로 연결 하면 자동으로 켜지면서 SW모드 진입.
    이 모드에서 나가려고 한다면 베터리를 분리 후 다시 연결 한다.


4. 업그레이드 복구
    볼륨↑ + 전원 버튼


5. 공장 초기화 
    볼륨↑↓ + 전원 버튼


6. 안전모드
    LG-SU-870의 전원을 끈다. 다시 전원 켜고 각통신사 로고가 나오고 나서 전면의
    "메뉴, 홈, 취소" 버튼에 LED가 들어오면, 메뉴 버튼(왼쪽 첫번째 LED영역) 누르고 
    있으면 된다. 또는 위와 같은 타이밍에 볼륨↓ 키를 누르고 있어도 된다.

    주의 : 지정해 놓은 일부 설정이 리셋 된다. 예를 들면 바탕화면 이 기본 값으로 변경. 



2013년 6월 11일 화요일

[EtC] 바코드 출력용 글꼴(Barcode Font)


바코드를 출력 해야 하는 경우 [폰트 다운로드] 하여 설치 한 뒤, 사용 한다.

출력 하고자 하는 바코드 앞 뒤로 * 을 붙여 주어야 인식 한다.





2013년 5월 27일 월요일

[EtC] 크롬에서 플래시 디버거 문제




<그림을 클릭 하여 크게 보실수 있습니다>


The Flash Builder debugger failed to connect to the running application.
Ensure that:
1. For in-browser applications, you are running the debugger version of Flash Player.
2. For network debugging on a mobile device, you have a reliable network connection to the device, and port 7935 is open on your machine's firewall.
   Device connection help


위와 같은 메세지가 나오는 경우는 플래시 디버거 버젼의 문제, 7935번 포트의 사용, 크롬의 플래시 플레이어 플러그인 의 문제 중 하나 일 수 있다.



<그림을 클릭 하여 크게 보실수 있습니다>

크롬 브라우저 의 주소 입력줄에 chrome://plugins 를 입력하면 위와같은 화면이 나온다.

붉은색 박스의 플러그인 은 크롬에 내장된 플래시 플레이어 플러그인 인다. 바로 아래의 파란색 박스의 플러그인은 개발자가 설치한 플래시 플레이어 플러그 인 이다.

'위치' 를 보고 크롬에 내장된 플래시 플레이어 플러그인의 사용을 중지 시키도록 한다.




2013년 5월 21일 화요일

2013년 5월 13일 월요일

[LiNuX] 리눅스의 크롬 에 jre 설치


- jre 가 설치된 디렉토리 : /opt/jre1.7.0_21

- chrome 이 설치된 디렉토리 : /opt/google/chrome

- 크롬이 설치된 디렉토리 아래 plugins 라는 디렉토리가 있는지 확인 후 없으면 만들어 준다.
root@debian:/opt# mkdir -p /opt/google/chrome/plugins/

- jre가 설치된 디렉토리에서 libnpjp2.so 파일이 있는 경로를 크롬이 설치된 디렉토리 아래 plugins 에 심볼릭 링크를 걸어 준다.
root@debian:/opt# ln -s /opt/jre1.7.0_21/lib/i386/libnpjp2.so /opt/google/chrome/plugins/

- 64Bit 용 jre 의 경우

root@debian:/opt# ln -s /opt/jre1.7.0_21/lib/amd64/libnpjp2.so /opt/google/chrome/plugins/

2013년 5월 7일 화요일

[EtC] oracle exp 명령



- 사용자별 데이터 백업

exp userid=freecatz/jhkim99  file='D:\backup\adbcefg.dmp'  log='D:\backup\adbcefg.log'


2013년 5월 6일 월요일

[LiNuX] 원격데스크탑(mstsc) 를 이용하여 데비안에 연결 하기

<그림을 클릭 하여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데비안 또는 우분투에 root의 권한으로 xrdp 라는 패키지를 설치 합니다. 꼭 데비안이나 우분투만이 아니라 다른 리눅스에서도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xrdp 패키지를 설치 하시면 됩니다.

root@debian:~# apt-cache search xrdp
xrdp - Remote Desktop Protocol (RDP) server
root@debian:~# apt-get install xrdp
... 중략 ...
Generating xrdp RSA keys......
Generating 512 bit rsa key...

ssl_gen_key_xrdp1 ok

saving to /etc/xrdp/rsakeys.ini

done (done).
Starting Remote Desktop Protocol server : xrdp sesman.
root@debian:~# 



<그림을 클릭 하여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윈도우가 설치된 PC 로 가셔서 시작 -> 실행 메뉴를 클릭 하고, 나타나는 실행 창에서 mstsc 라는 명령어를 실행 합니다.



<그림을 클릭 하여 크게 볼 수 있습니다>

xrdp 를 설치한 데비안 시스템의 IP 주소를 입력 하고  '연결' 버튼을 클릭 합니다.



<그림을 클릭 하여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은 창이 뜨는 경우 '예' 버튼을 클릭 합니다.



<그림을 클릭 하여 크게 볼 수 있습니다>

Module 은 sesman-Xvnc 로 두시고, username 에는 리눅스의 사용자 계정을,  password  에는 해당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 하시고, "OK" 버튼을 클릭 하여 로그인 합니다.



<그림을 클릭 하여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연결된 후 초반에 조금은 느린듯 합니다. 개발용으로 이클립스 등을 구동 시키기 위해서 괜찮을 듯 합니다.



<그림을 클릭 하여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좌측 eeePC-904HD 에 데비안 6 버젼이 설치된 넷북을 원격 데스크탑으로 이용 하고 있습니다.